잡다한 개발지식

[Git] GitLab과 SourceTree를 활용한 Eclipse 프로젝트 커밋 방법

l0o0lv(한동근) 2025. 2. 3. 23:11

1. 프로젝트 생성 및 Clone

 

먼저 테스트용 레포지토리를 생성해주자.

 

 

Clone할 폴더에 들어간 뒤, 주소를 텍스트로 복사해준다.

 

 

cmd 창을 키고, 복사한 주소로 `cd {이동할 경로}` 를 통해 이동한다.

 

 

아까 생성한 Gitlab 레포지토리로 가서, Code를 누르고 HTTPS 주소를 복사한다.

 

git clone https://{your_git_link}

 

다시 cmd 창으로 가서 위 명령어를 통해 git clone을 해주면,

 

 

Gitlab 레포지토리와 연동된 폴더가 만들어진다.

2. SourceTree 설정

 

이제 SourceTree로 이동해서 Clone 받아온 폴더와 연동을 해줘야 한다.

 

Add를 눌러준 뒤, 탐색을 눌러 로컬에 있는 폴더와 연동을 해준다.

 

 

성공적으로 SoureTree에 연동이 됐다.

3. Eclipse에 Clone해온 폴더 Import

 

이클립스에 들어가서 Clone 해온 폴더를 import 해오자!

 

 

 

 

 

 

 

 

`Projects from Git(with smart import)` -> `Existing local Repository` -> `Add` -> `clone 한 폴더로 설정` -> `Finish` 

 

 

이제 Clone 해온 폴더를 이클립스에 추가했다.

 

4. .gitignore 설정

https://www.toptal.com/developers/gitignore

 

gitignore.io

Create useful .gitignore files for your project

www.toptal.com

 

위 사이트를 통해 .gitignore에 들어가야하는 문자들을 복사해주자.

 

`Eclipse`, `Maven`, `Java`를 선택하고 생성을 누르면 코드가 나오는데, 전체 복사해준다.

 

 

Eclipse로 다시 가서, import 한 폴더의 최상위에 .gitignore를 생성해 코드를 붙여넣기한다.

 

git ignore 설정을 해주면, 보안 상 위험성이 있거나 프로젝트와 관계없는 파일, 그리고 용량이 큰 파일 등이 커밋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외부에서 받아온 프로젝트 설정

 

외부에서 zip파일로 된 프로젝트들을 압축해제하고 이클립스에서 Gitlab과 연동한 폴더에 넣고 싶었지만, import를 해도 폴더 안으로 이동하지 않고 폴더 바깥에 생성되었다.

 

결국, 별다른 방법을 찾지 못해 압축해제 한 프로젝트를 직접 gitlab과 연동된 폴더에 넣고, 이클립스에서 import 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연동된 폴더에 import할 프로젝트를 넣어준다.

 

 

다시 이클립스로 돌아와서 `import` -> `Projects from Folder or Archive` -> `Finish`

 

Gitlab과 연동된 폴더에 프로젝트를 넣으면, 이클립스에서 자동으로 인식해 추가할 수 있다.

 

 

프로젝트가 폴더 바깥이 아닌, gitlab_test 하위에 생성되었다.

 

 

SourceTree로 돌아가면, 추가한 프로젝트가 커밋 목록에 나오게 된다.

 

이제 이클립스에서 코드를 구현하고 커밋을 하면 Gitlab에 정상 반영된다!